3일동안 안보기
자동 이미지 순환 배너 좌측

시사

조회수 BEST

추천수 BEST

조회 수 1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rcv.20251114.PYH2025111405070001.jpg

한국 정부가 미국으로부터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과 원자력 협력 확대 약속을 받아냈지만, 실제 권한 범위와 연료 조달 등 구체적 사항은 후속 협상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최종 합의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 ‘핵잠’ 승인 확보, 실무 협상은 이제부터

한미 팩트시트로 정책적 공감대 확인,

국내 건조·원자력 협력 등 디테일 후속 논의 주목

 

 

 

 

한국 정부가 미국으로부터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과 한-미 원자력 협력 확대 약속을 받아냈지만, 실제 실행까지는 첩첩산중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대통령실은 14일 발표된 공동 팩트시트를 통해 양국의 정책적 공감대를 확인했지만,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후속 협의에 많은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내용은 한겨레 11월 15일 보도를 통해 상세히 전해졌다.

 

이번 합의에서 핵심 내용은 두 가지다. 미국은 한국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민간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지지하며,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하기로 했다. 핵추진 잠수함은 장기간 잠항과 고속기동, 낮은 소음 등 기존 디젤 잠수함보다 월등한 작전 능력을 갖추는 장비로, 우리 정부는 30년 이상 이를 확보하기 위해 준비해왔다. 2015년 개정된 한-미 원자력 협정상 미국의 사전 허가가 필요한 사항들을 이번 협상에서 최대한 확보한 셈이다. 정부 관계자는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를 주면서 비확산 제재 속에서도 핵심 권한을 받아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공동 팩트시트는 ‘총론적 합의’일 뿐 실질적인 권한 범위와 구체적 조건은 후속 협의로 남겨두었다. 위성락 실장은 “우라늄 농축,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핵추진 잠수함 연료 조달과 관련해 ‘지지’와 ‘협력’이라는 표현만 합의됐을 뿐, 디테일은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핵추진 잠수함 연료 문제는 별도 협정 체결이 필요하며, 군사적 목적 이용은 기존 한-미 원자력 협정 범위를 넘어서는 사안이라 추가 조율이 불가피하다.

 

 

Launch-Ceremony-for-Koreas-Next.jpg

장영실급 잠수함은 국내 기술로 설계·건조된 3,600톤급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와 10셀 수직발사체계(VLS)를 장착해 장기간 잠항 능력과 정밀 타격 성능을 갖춘 전략 자산이지만, 핵추진 잠수함과 달리 장기 잠항과 고속 기동력에는 한계가 있다.

 

 

 

핵잠수함 건조 위치는 한국 국내를 전제로 논의가 진행됐다. 위 실장은 “논의 과정에서 미국에서 건조한다는 얘기는 나오지 않았으며, 핵연료 관련 협조 요청이 핵심이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동맹 현대화 차원에서 전작권 전환을 위한 협력을 지속하며, 미래연합사 운용능력 검증 2단계를 2026년까지 마무리하기로 합의했다. 공동 팩트시트에는 국방비 GDP 3.5% 증액, 2030년까지 250억 달러 규모 미국산 군사 장비 구매, 주한미군 지원 330억 달러 등 세부 내용이 포함됐다. 위 실장은 “330억 달러는 토지 공여, 전기·수도 사용료 등 직·간접 비용을 모두 포함한 최대치”라고 덧붙였다.

 

미국과의 핵추진 잠수함 승인 및 원자력 협력 확대에 대해 외신들은 다양한 시각으로 반응하고 있다. 미국의 승인 사실은 UPI 등 해외 언론에 보도되며 “폭넓은 무역·안보 합의의 일부”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실제로 깊은 신뢰에는 아직 의문이 남는 모습도 보인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 한국 잠수함을 건조하겠다”고 언급한 것과, 한국 정부가 “국내에서 건조하겠다”고 밝힌 발언 사이에 외신들이 ‘메시지 불일치(conflicting messages)’를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과 한국이 핵 잠수함 기술을 확대하는 결정을 두고 “비확산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일부 외신은 내부적으로 실제 연료 조달과 건조 등을 위한 구체적 협약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고 ‘별도 협정이 필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이번 합의를 계기로 한국은 핵추진 잠수함 확보와 원자력 협력 확대를 위한 국제적 기반을 마련했지만, 실제 권한 범위와 군사적 활용, 후속 협정 체결 등은 앞으로 계속되는 협상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1. 머스크 AI, 홀로코스트 부정 발언으로 프랑스 수사 착수

    머스크의 AI 챗봇 그록(Grok)이 아우슈비츠 수용소 가스실을 대량학살이 아닌 ‘소독용’으로 언급하는 홀로코스트 부정 발언을 하면서 프랑스 정부가 수사에 착수했다. 이 발언은 xAI의 AI 운영 방식과 과거 반유대적 발언 논란과 함께 유럽연합과...
    Date2025.11.21 By보스턴살아 Views74 Votes0
    Read More
  2. 직장인 건강보험료 ‘폭등 경고’

    미국 직장인 1억 6,500만 명이 가입한 고용주 제공 건강보험의 보험료가 내년에 6~7% 급등하면서 근로자들의 재정적 부담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정치권은 오바마케어 보조금 문제에만 집중하고 있어, 훨씬 더 많은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고용주 보험료...
    Date2025.11.20 By보스턴살아 Views205 Votes0
    Read More
  3. 한국 ‘핵잠’ 승인 확보, 실무 협상은 이제부터

    한국 정부가 미국으로부터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과 원자력 협력 확대 약속을 받아냈지만, 실제 권한 범위와 연료 조달 등 구체적 사항은 후속 협상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안보 협상 ‘...
    Date2025.11.15 By보스턴살아 Views118 Votes0
    Read More
  4. 민주당 셧다운 후 내부 분열, 의료보험 이슈로 정치적 기회 확보

    민주당은 43일간의 셧다운 종료 과정에서 내부 의견 차를 드러냈지만, 의료보험 보조금과 생활비 문제를 부각시키며 공화당과 대비되는 정치적 기회를 확보했다. 크리스 머피 등 일부 의원은 민주당이 단결해 더 강력히 싸워야 한다고 강조하며, 향후 정책 싸...
    Date2025.11.14 By보스턴살아 Views103 Votes0
    Read More
  5. 43일의 마비, 다시 열린 워싱턴

    미국 사상 최장 43일간 이어진 연방정부 셧다운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예산안 서명으로 종료되었으며, 이로 인해 연방 공무원 급여 중단, 공항 혼란, 푸드뱅크 대기행렬 등 국민 피해가 해소되었다. 그러나 강화된 건강보험 세액공제 연장 문제 등 핵심 ...
    Date2025.11.13 By보스턴살아 Views171 Votes0
    Read More
  6. 상원 타협 시동. 40일 셧다운 판도 뒤집히다

    상원은 중도파 일부 민주당 의원들의 합류로 40일째 이어진 셧다운 타협 절차에 돌입했지만, 오바마케어 보조금 연장이 빠지면서 민주당 내부 반발이 거세다. 이번 절충안은 정부 재개와 연방 공무원 보호 조치를 담고 있으나 건강보험 보조금 문제는 12월로 ...
    Date2025.11.09 By보스턴살아 Views255 Votes0
    Read More
  7. 39일째 셧다운, 상원 주말 회기 ‘빈손’…출구전략 여전히 오리무중

    셧다운이 39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상원은 주말 회기를 열었지만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와 양당 갈등으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중도파를 중심으로 절충안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보조금 연장 문제와 정치적 계산이 얽히며 셧다운 종료 ...
    Date2025.11.08 By보스턴살아 Views140 Votes0
    Read More
  8. 트럼프 측근 엘리스 스테파닉, 뉴욕 주지사 도전 선언

    엘리스 스테파닉 공화당 하원의원이 뉴욕 주지사 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현 주지사 캐시 호출의 리더십 실패와 높은 생활비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녀는 출마 영상에서 뉴욕의 범죄와 경제 위기를 강조하며, 내년 선거에서 승리를 노리기 위해 보수 성향 ...
    Date2025.11.07 By보스턴살아 Views125 Votes0
    Read More
  9. 공화당, 맘다니로 민주당 흔들기 나섰다

    조란 맘다니는 뉴욕의 젊은 민주사회주의자 시장으로, 진보 진영에서는 새로운 희망으로 평가받지만 보수층에는 급진 좌파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공화당은 그를 ‘사회주의 시장’으로 부각시켜 전국 민주당 후보들을 공격하는 카드로 활용하고 있...
    Date2025.11.05 By보스턴살아 Views125 Votes0
    Read More
  10. 경주에서 피어난 AI외교, 트럼프도 시진핑도 웃었다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한국이 주요국 외교의 중심 무대로 부상했음을 보여줬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화해 분위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환대, 엔비디아와의 인공지능(AI) 협력이 어우러지며 외교·경제&m...
    Date2025.11.01 By보스턴살아 Views259 Votes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 Next
/ 31
자동 이미지 순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