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국무부가 하버드 대학의 J-1 비자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조사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하버드는 이를 보복성 조사라 반발하고 연방 연구비 동결 등 다방면에서 압박을 받고 있다.
미 국무부, 하버드 대학 J-1 비자 프로그램 조사 착수
트럼프 행정부, 하버드 국제 인력 비자 스폰서십 규정 준수 여부 집중 점검
미국 국무부(State Department)는 7월 23일, 하버드 대학(Harvard University)의 J-1 비자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Exchange Visitor Program) 운영이 규정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하버드 크림슨(Harvard Crimson)이 보도했다. 이 조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의 국제 학생과 교직원을 압박하는 최근 행보의 일환이다.
국무부는 이번 조사의 목적이 미국의 국가 이익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라며, 모든 비자 스폰서가 비자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고 미국의 외교·안보 정책을 따를 것을 강조했다. 행정부는 반유대주의 척결과 중국과의 연계에 대한 국가 안보 우려를 배경으로 하버드를 압박하고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하버드는 비자 관련 기록을 일주일 내 제출하라는 요구를 받았고, 연방 당국은 직원 및 비자 소지자 면담도 요청할 수 있다. 국무부 장관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는 하버드 총장 앨런 가버(Alan M. Garber)에게 공식 서한을 보냈다. 루비오는 “비자 스폰서십은 특권이며, 국가 이익에 반하는 경우 이를 박탈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무부는 미국 국가 이익과 외교·안보 정책 준수를 확인하기 위해 하버드에 비자 관련 기록 제출과 면담을 요구하며, 루비오 장관은 비자 스폰서십이 특권임을 강조하며 위반 시 박탈하겠다고 경고했다.
하버드 대변인은 이번 조사를 “보복성”이라 비판하며, 대학은 계속해서 국제 학자와 학생들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6월에는 일부 신임 학자들이 입국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 조사는 최근 두 주간 행정부가 하버드의 인증 취소와 국제 학생 관련 자료 제출을 강력히 요구하며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진행됐다. 국토안보부는 이미 하버드의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EVP) 인증을 취소한 바 있고,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 학생 입국 제한 행정명령도 발동했다. 하지만 법원은 이들 조치를 잠정 차단했다.
이와 별개로, 하버드는 연방 연구비 20억 달러 이상이 동결되는 등 재정적 타격도 입고 있으며, 관련 소송을 진행 중이다. 의회와 행정부는 하버드의 입학·채용 정책, 외국 정부와의 관계, 반유대주의 문제 등에 대해 다수 조사를 벌이고 있다.
루비오 상원의원은 재무부에 하버드의 제재 대상 중국 관료 회의 여부 조사를 촉구하고, 비자 신청자들의 소셜미디어를 검열하는 시범 프로그램도 발표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주 월요일 연방 법원은 하버드의 연방 연구비 동결 소송 심리를 진행하며 행정부의 근거에 의문을 제기했으나, 최종 판결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하버드 #J1비자 #국무부조사 #트럼프행정부 #국제학생 #비자규정 #연방연구비 #미국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