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동안 안보기
자동 이미지 순환 배너 좌측

시사

조회수 BEST

추천수 BES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rcv.20250618.PYH2025061800300001.jpg

김혜경 여사는 2025년 G7 정상회의 기간 중 대통령 배우자로서 조용하고 겸손한 태도로 교민들을 위로하고 한국 문화를 알리며 국제 무대에서 품격 있는 외교의 첫발을 내디뎠다.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캐나다를 방문한 김혜경 여사가 17일(현지시간) 캘거리 한인회관에서 열린 캐나다 서부 동포사회와의 대화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사진기자단)

 

 

 

 

 

"말 대신 진심으로"

김혜경 여사, 조용한 외교의 품격을 걷다

 

G7 정상회의 이면에서 홀로 교민 만나 위로와 공감 전해…한복 외교로 문화 알림도

 

 

 

 

 

2025년 6월 16일부터 17일까지 캐나다 앨버타주 카나나스크스빌리지에서 열린 제51차 G7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동행한 김혜경 여사가 국제 무대에서 조용하지만 의미 있는 ‘배우자 외교’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회담 기간 동안 이재명 대통령은 주요국 정상들과의 연쇄 회담을 위해 회의 장소인 카나나스키스로 이동했고, 김혜경 여사는 캘거리에 남아 현지 교민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이는 대통령 배우자가 단독으로 교민 간담회에 참석한 드문 사례로, 조용한 진정성과 따뜻한 행보가 돋보였다.

 

MBC의 6월 18일 보도에 따르면, 김 여사는 교민 간담회 자리에서 차량에서 내려 직접 고개 숙여 인사하며 참석자들을 맞이했고, 이 자리에는 밴쿠버·토론토 등 캐나다 전역에서 교민들이 찾아와 따뜻한 환영을 보냈다. 최진영 캘거리 한인회장은 “이 바쁜 외교 일정 중에도 우리 동포들과의 시간을 내어준 데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20250618504176.jpg

이재명 대통령 부인 김혜경 여사가 17일(현지 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한인회관에서 열린 캐나다 서부 동포사회와의 대화를 나누기 전 동포들과 인사하고 있다. 

 

 

 

김 여사는 “사실 대통령이 왔어야 할 자리지만, 대신해서 제가 왔다”며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 이어 “조국의 소식에 하루하루 마음을 졸였을 동포 여러분께 위로와 응원이 되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교민들이 한국 사회와 정부에 바라는 점들을 직접 전달하며 의미 있는 소통이 이뤄졌다.

 

김 여사의 외교 행보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앨버타주 주정부가 주최한 공식 리셉션에서는 연노란 치마와 녹색 저고리로 구성된 단아한 한복을 입고 참석해, 한국 전통복식의 아름다움을 현지 정치인들과 외교 관계자들에게 알렸다. 이 자리에서 그녀는 “한국은 문화로 세계와 연결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또한 김 여사는 캐나다의 국립 장애인 문화예술센터를 방문해 현지 예술인들과의 교류에도 나섰다. 이 자리에서 한국의 문화예술과 포용적 가치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며, 단순한 외교를 넘어 문화로 연결되는 외교의 지평을 넓혔다.

 

과거 대통령 배우자의 해외 방문이 쇼핑, 사진 연출 등 불필요한 논란에 휘말렸던 점과 달리, 이번 김 여사의 일정은 ‘조용하지만 품격 있는’ 외교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김혜경 여사의 이번 행보는 단순한 동행 그 이상이었다. 그녀는 말보다 진심, 형식보다 공감으로 외교의 문을 열었고, 이는 앞으로의 대통령 배우자 외교가 나아갈 방향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김혜경여사 #G7정상회의 #조용한외교 #교민간담회 #한복외교 #문화외교 #배우자외교 #국제무대첫발

 


  1. 이재명 정부, ‘파격 내각’ 발표 - 64년 만에 민간인 국방장관

    대통령실은 6월 23일,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의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첫 내각 인선을 발표했다. 실용주의를 앞세운 이번 인사에서는 민간 전문가, 현직 노동자, 전·현직 국회의원이 고르게 포함됐다. 윗줄 왼쪽부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
    Date2025.06.23 By보스톤살아 Views38 Votes0
    Read More
  2. “이민 협조 안 하면 교통기금 끊겠다”… 트럼프 행정부 계획 제동

    트럼프 행정부가 이민 단속 협조를 조건으로 교통기금을 중단하려 한 계획이 연방법원 판결로 제동이 걸리며, 주 정부의 주권과 중요한 연방 기금이 보호되었다. 2025년 5월 28일 수요일, 션 더피(Sean Duffy) 교통부 장관이 워싱턴 교통부에서 뉴어크 리버티...
    Date2025.06.20 By보스톤살아 Views80 Votes0
    Read More
  3. 미국 첫 폭염주의보, 에어컨 없이 더위를 이기는 법

    미국 전역에 4천만 명 이상이 폭염주의보 아래 놓인 가운데,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에어컨이 없더라도 체온 조절과 충분한 수분 섭취 등으로 건강을 지키는 방법을 강조한다. 미국 첫 폭염주의보, 에어컨 없이 더위를 ...
    Date2025.06.20 By보스톤살아 Views46 Votes0
    Read More
  4. "말 대신 진심으로"…김혜경 여사, 조용한 외교의 품격을 걷다

    김혜경 여사는 2025년 G7 정상회의 기간 중 대통령 배우자로서 조용하고 겸손한 태도로 교민들을 위로하고 한국 문화를 알리며 국제 무대에서 품격 있는 외교의 첫발을 내디뎠다.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캐나다를 방문한 김혜경 여사가...
    Date2025.06.18 By보스톤살아 Views59 Votes1
    Read More
  5. 이재명 대통령, 첫날부터 숨가쁜 외교전… '대한민국 정상외교 복귀 선언'

    이재명 대통령이 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에 도착해 남아공·호주 정상과 연쇄 회담을 열고 활발한 정상외교를 펼치며 대한민국 외교 복귀를 공식화했다.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왼쪽)이 앨버타(Alberta)에서 앤서니 앨버니지(Anthony Albanese) 호...
    Date2025.06.17 By보스톤살아 Views41 Votes1
    Read More
  6. 트럼프, G7 정상회의 조기 귀국… 격화하는 이란-이스라엘 갈등에 긴장 고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과 이스라엘 간 갈등 격화로 G7 정상회의를 하루 앞당겨 조기 귀국하며, 이란 핵 문제 대응과 군사적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캐나다의 마크 카니(Mark Carney) 총리(왼쪽)가 2025년 6월 16일(월) 캐나다 앨버타주 카...
    Date2025.06.16 By보스톤살아 Views60 Votes0
    Read More
  7. 이란, 이스라엘 전면 반격…중동 전면전 우려 고조

    이란은 이스라엘의 핵시설 및 군사 지도자에 대한 공습에 대응해 미사일 수십 발을 발사하며 보복에 나섰고, 이로 인해 예루살렘과 텔아비브 등 이스라엘 전역에 공습 경보가 울리고 방공 시스템이 가동되었다. 이번 무력 충돌은 양국 간 오랜 긴장을 극한으...
    Date2025.06.13 By보스톤살아 Views56 Votes1
    Read More
  8. 토니상 6관왕 쾌거, 한국 뮤지컬 세계 중심에 서다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Maybe Happy Ending)'이 토니상 6관왕을 차지하며, 대한민국이 미국 4대 엔터테인먼트상을 모두 석권한 문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브로드웨이 공연 "Maybe Happy Ending"에서 헬렌 제이 셴(왼쪽)과 대런 크리스...
    Date2025.06.11 By보스톤살아 Views108 Votes4
    Read More
  9. 공적연금도 AI 혁명 준비한다, ‘AI 아카데미’ 설립 필요성 대두

    공적연금 시스템이 AI 시대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내부 인력 재교육과 함께 연금 특화 ‘AI 아카데미’를 설립해 기술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공적연금도 AI 혁명 준비한다, ‘AI 아카데미’ 설립 필요성 대두 최첨단 AI ...
    Date2025.06.10 By보스톤살아 Views52 Votes2
    Read More
  10. 스마트폰 해킹, ‘모바일 보안 위기’ 초래

    중국 해커들이 미국 정부와 주요 인사들의 스마트폰을 클릭 없이 침투하는 정교한 사이버 공격을 펼치면서, 모바일 보안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용자 실수와 보안 허점이 결합해 민감한 정보 유출 위험이 커지고 있어, 모바일 기기 보안 강화...
    Date2025.06.08 By보스톤살아 Views69 Votes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자동 이미지 순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