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동안 안보기
자동 이미지 순환 배너 좌측

학교소개/소식

조회수 BEST

추천수 BES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24125_1363193.jpg.1500x1000_q95.jpg

하버드 대학교 학생들이 기말고사 시작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전통적인 알몸 질주 행사인 ‘프라이멀 스크림(Primal Scream)’에 참여했다. 2025년, 학생들은 기말고사 시작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하버드 야드(Harvard Yard)를 알몸으로 달렸다.

 

 

 

 

하버드의 '야성의 비명', 알몸 질주로 기말고사 스트레스 날려버리다

 

'프라이멀 스크림(Primal Scream)' 전통, 부상과 논란 속에도 졸업 앞둔 학생들 마지막 질주

 

 

 

 

 

2025년 봄,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의 수십 년 전통 행사인 '프라이멀 스크림(Primal Scream)'이 또 한 번 캠퍼스를 달궜다. 기말고사 전야, 정적이 감도는 하버드 야드(Harvard Yard)가 자정과 동시에 환호성과 알몸 질주로 뒤덮였다.

 

하버드 크림슨에 따르면, 지난 5월 8일 자정 무렵, 수백 명의 하버드 학생들이 교내 홀리스 홀(Hollis Hall) 앞에 모였다. 이들은 ‘읽기 기간(reading period)’의 끝과 본격적인 기말고사의 시작을 알리는 순간, 긴장과 스트레스를 날려버리겠다는 듯, 옷을 벗고 하버드 야드를 한 바퀴 전속력으로 달렸다.

 

현장에는 하버드 대학교 밴드(Harvard University Band)가 전통대로 존 하버드 동상(John Harvard statue) 앞에서 음악을 연주하며 분위기를 띄웠고, 기수들의 일제 카운트다운과 비명으로 질주가 시작됐다. 기숙사 앞 잔디밭에는 학생 관람객들이 의자에 앉아 이들의 질주를 응원했다.

 

그러나 시작과 동시에 수십 명의 참가자들이 좁은 통로에서 서로 부딪히며 넘어졌고, 일부는 짓밟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대부분은 스스로 일어나 달리기를 이어갔지만, 경미한 타박상과 발목 부상으로 절뚝이며 돌아가는 학생들도 눈에 띄었다.

 

 

201142_1356405.jpg.1500x1000_q95.jpg

2024년, 학생들은 기말고사 첫날 전날 밤에 하버드 야드(Harvard Yard)를 알몸으로 달렸다.

 

 

이번 봄 행사 참가자는 지난 가을 학기보다 크게 줄었다. 이런 감소는 계절적인 경향으로 여겨지며, 추운 12월 밤에 질주하는 것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더 많다는 것이 이유로 지목됐다. 또 다른 이유는 하버드 야드 곳곳에 최근 설치된 감시카메라였다. 일부 학생들은 카메라를 의식해 참여를 꺼렸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특히 졸업을 앞둔 4학년 학생들에게 마지막 기회였다. 시니어인 오제인(Jane J. Oh)은 “1학년 때는 팬데믹 때문에 하지 못했다”며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해 용기 내어 참가했다”고 말했다.

 

프라이멀 스크림은 원래 ‘스크림(Scream)’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됐으며, 초기에는 학생들이 창문 밖으로 비명을 지르며 시험 스트레스를 푸는 단순한 이벤트였다. 이후 1990년대부터는 스트리킹(streaking, 알몸 질주)과 야드 한 바퀴 달리기가 더해져 지금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이날 질주의 선두주자는 브랜든 멘도사(Brandon A. Mendoza)였다. 그는 “마일 페이스 4분 30초 정도로 달렸다”며 “그냥 머리를 들고 전속력으로 달리는 게 짜릿하다”고 말했다.

 

함께 참가한 어거스트 다미아니(August C. Damiani)와 카일 데이비스(Kyle S. Davis)도 “재미있는 광경”이라며, 일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다미아니는 “캠퍼스를 질주하며 비명을 지르는 건 내겐 일종의 정화다. 그래서 오늘 여기 있다”고 말했다.

 

캠퍼스의 긴장감 넘치는 시험 시즌 시작을 알리는 동시에, 학생들의 자유롭고 원초적인 해방감을 담아내는 하버드의 프라이멀 스크림은 부상과 논란에도 불구하고 또 한 번 그 전통을 이어갔다.


  1. “505일의 생환”... 라시 스쿨, 감동과 기적의 밤

    라시 스쿨은 연례 디너에서 가자지구 인질 생환자인 오머 셈 토브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하고 3,400만 달러 모금 캠페인의 성공을 기념하며 공동체 정신과 교육의 가치를 되새겼다. 왼쪽부터 척 마이어스, 제시카 마이어스, 에밀리 차튼, 신디 제너워(라시 스...
    Date2025.05.26 By보스톤살아 Views58 Votes0
    Read More
  2. “환자의 삶을 바꾸는 기술” - '12, BC 동문 이야기

    보스턴 칼리지(BC) 2012년 졸업생인 메러디스 코흐(Meredith Koch)는 중증 부상 후 재활을 거쳐, 메드트로닉(Medtronic)에서 수술용 로봇 개발을 이끄는 임상 시스템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기술을 환자 중심으로 설...
    Date2025.05.19 By보스톤살아 Views61 Votes0
    Read More
  3. 노인을 붙잡아주는 로봇, 넘어지기 전 감지해 '안전'까지 책임진다

    MIT 연구진은 고령자의 낙상과 이동 보조를 위해 로봇형 보조 기기 ‘E-BAR’를 개발했다. 이 로봇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춰 동행하며, 낙상을 감지하면 에어백이 자동으로 팽창해 안전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노인을 붙잡아주는 로봇,...
    Date2025.05.14 By보스톤살아 Views109 Votes0
    Read More
  4. 하버드의 '야성의 비명', 알몸 질주로 기말고사 스트레스 날려버리다

    하버드 대학교 학생들이 기말고사 시작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전통적인 알몸 질주 행사인 ‘프라이멀 스크림(Primal Scream)’에 참여했다. 2025년, 학생들은 기말고사 시작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하버드 야드(Harvard Y...
    Date2025.05.09 By보스톤살아 Views97 Votes1
    Read More
  5. 뉴햄프셔, 여전히 미국 최하위 교육재정 분담 주정부…지역 재산세 의존이 불러온 교육 격차

    뉴햄프셔(New Hampshire)는 공립학교 재정에서 주정부의 기여가 전국에서 가장 낮고 지역 재산세에 과도하게 의존해 지역 간 교육 격차와 헌법적 논란을 초래하고 있다. 2025년 1월 8일, 뉴햄프셔주 의회(콘코드, Concord) 뉴햄프셔, 여전히 미국 최하위 교육...
    Date2025.05.02 By보스톤살아 Views57 Votes0
    Read More
  6. 뉴턴 사립학교, 예비 학부모 대상 '커피와 대화' 아침 모임 개최

    마운트 알버니아 아카데미(Mount Alvernia Academy)는 예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오는 5월 2일 ‘커피와 대화’ 행사를 열어 학교 공동체와 교육환경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마운트 알버니아 아카데미 홈페이지 메인 이미지. 뉴턴 사립학교, ...
    Date2025.05.01 By보스톤살아 Views53 Votes0
    Read More
  7. “스티커 가격은 허상?” 대학 등록금 10만 달러의 진실

    미국 대학의 등록금이 지나치게 높아 보이는 이유는 ‘스티커 가격’이 실제 부담액과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저소득층 가정이나 1세대 대학 진학자에게는 이 오해가 진학의 장벽이 될 수 있다. 정부와 대학은 정보 투명성을 높이려 노력하고 있...
    Date2025.04.30 By보스톤살아 Views71 Votes0
    Read More
  8. 하버드 로리뷰, 인종차별 논란 휘말리다…트럼프 행정부, 연방조사 착수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학교와 하버드 로리뷰(Harvard Law Review)가 인종을 기준으로 구성원과 논문을 선정했다며 민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연방조사에 착수했다. 2016년 3월 13일, 하버드대학교 정문 입구의 철문 위에 부조 조각상이 놓여 있다. 하버드 ...
    Date2025.04.29 By보스톤살아 Views48 Votes0
    Read More
  9. 하버드의 에이스, 라스베이거스로 간다

    하버드 대학교의 시니어 가드 하모니 터너는 미국 대학농구(NCAA) 시즌의 하이라이트인 전국 토너먼트 대회인 '3월의 광란(March Madness)'에서 미시간주립대의 수비를 뚫고 돌파하며 활약했고, 월요일 WNBA에 지명된 하버드 역사상 네 번째 선수가 ...
    Date2025.04.15 By보스톤살아 Views48 Votes0
    Read More
  10. 미국 최고 대학원 순위 발표…MIT·하버드, 전 분야 상위권 장악

    미국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U.S. News & World Report)가 발표한 2025년 대학원 과정 순위에서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소재 여러 대학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 매사추세츠 내 여러 ...
    Date2025.04.12 By보스톤살아 Views55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자동 이미지 순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