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절차적 쟁점으로 인해 지연되고 있으며, 역대 최장 기간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미뤄진 이유
헌법재판소, 역사적인 결정을 앞두고 고심,
국민 여론과 절차적 쟁점이 주요 변수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다시 미뤄지면서 역대 대통령 탄핵 사건 중 가장 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3월 14일 현재, 헌법재판소는 선고 일정을 발표하지 않았고, 선고는 다음 주 초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선고까지 걸린 기간이 93일에 달하게 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91일 기록을 넘어서는 최장 기록이 된다.
선고가 지연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절차적 쟁점에 대한 고심이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에서는 '헌법을 중대하게 위반할 경우 파면한다'는 기준이 확립되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이 기준에 따라 탄핵이 인용됐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도 법적으로 '중대한 헌법 위반'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란은 크지 않지만, 절차적 문제에서 논의가 길어지고 있다.
윤 대통령 측은 변론 과정에서 여러 차례 심판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재판부가 증인들에게 직접 신문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았고, 개정된 형사소송법을 적용해 피청구인 측 동의 없이 수사기관 진술 조서를 증거로 채택하는 방식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헌법재판소는 이러한 절차적 쟁점에 대해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선고 시점이 미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선고 시점에 대한 예측은 여러 가지가 있다. 과거 두 차례의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선고는 모두 금요일 오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번에도 3월 21일 금요일에 선고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국민 여론을 고려할 때, 주 초반에 선고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국론 분열과 혼란을 종식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가 있기 때문에, 헌법재판소가 빠른 결정을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3월 18일 화요일에는 박성재 법무부장관의 탄핵심판 변론이 예정되어 있어 이날은 선고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고는 21일 금요일이나 주 초반에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상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이번 주에도 평의를 계속 이어가고 있으며, 재판관들은 주말 동안 개별적으로 자료를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