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학교가 유대인과 이스라엘계 학생들에 대한 차별을 방치했다는 연방 조사 결과에 따라, 모든 연방 지원금 중단을 경고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하버드는 정부의 판단에 강하게 반발하며, 관련 구성원들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하버드에 연방 지원 끊겠다” 초강수
유대인 차별 조사 결과에 반발…하버드는 정면 반박
트럼프 행정부의 반유대주의 태스크포스는 6월 30일(월), 앨런 가버(Alan Garber) 하버드대학교 총장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하버드가 유대인 및 이스라엘계 학생과 교직원을 보호하는 데 실패해 시민권법을 위반했다는 연방 조사 결과를 통보했다.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시민권국(Office of Civil Rights)은 하버드가 일부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무관심했으며", 다른 경우에는 "반유대적 괴롭힘에 의도적으로 동참했다"고 판단했다.
보스턴 글로브(Boston Globe)의 6월 30일 보도에 따르면, 태스크포스는 하버드가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변화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모든 연방 재정 지원을 박탈하고, 연방 정부와의 관계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해당 태스크포스는 여러 연방 기관의 고위 관계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하버드 대변인 제이슨 뉴턴(Jason Newton)은 성명을 통해 “반유대주의는 어떤 상황에서도 용납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라며, “하버드는 증오와 편견에 맞서기 위해 여러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하버드가 최근 시행한 개혁 내용을 담은 자체 보고서를 정부에 제출했으며, 이는 반유대주의 및 반이스라엘 편향 문제에 대응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하버드는 성명에서 “이 문제에 대해 결코 무관심하지 않다”며 “정부의 조사 결과에 강하게 이견을 제기하며, 유대인 및 이스라엘계 구성원들이 하버드에서 존중받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와 하버드 간의 오랜 갈등 속에서 내려진 것이다. 행정부는 이미 하버드에 대한 약 30억 달러 규모의 연방 지원을 취소했으며, 지난 4월에는 국제학생 수용을 제한하려는 시도도 벌였다. 이는 하버드가 캠퍼스 정책과 운영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 요구를 거부한 데 따른 대응이었다. 현재 하버드는 이러한 조치에 대해 법적으로 대응 중이다.
한편, 최근 하버드가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 테이블에 복귀하면서 양측 간 긴장이 다소 완화되는 듯한 분위기도 있었으나, 이번 추가 압박이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투명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협상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며 “합의가 가까워지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번 조치로 대화가 다시 경색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하버드 #트럼프행정부 #연방지원중단 #유대인차별 #시민권법위반 #반유대주의 #미국대학정책 #보스턴뉴스 #국제학생 #하버드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