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추세츠(Massachusetts)주가 LGBTQ(레즈비언·게이·양성애자·트랜스젠더·퀴어) 기업과의 공공 계약 확대 목표를 처음 설정했으나, 산업 특성과 인증 절차 등 복합적 이유로 첫해 목표치의 40% 수준에 그쳤다. 여성·소수계 기업 지원 체계에 비해 역사가 짧고, 복잡한 공공 조달 시스템 적응에도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LGBTQ 기업 지원 ‘반토막’, 매사추세츠주는 왜 실패했나?
늦은 출발, 산업 한계, 복잡한 공공 계약 시스템까지
매사추세츠(Massachusetts)주가 LGBTQ(레즈비언·게이·양성애자·트랜스젠더·퀴어) 기업 지원 강화를 목표로 설정한 새 국가 계약 기준에서 기대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언론 GBH News와 WBUR 보도에 따르면, 주정부는 2024 회계연도에 LGBTQ 소유 기업과 체결한 계약 규모가 당초 목표치의 절반에도 못 미쳤으며, 이 같은 결과 뒤에는 구조적·산업적 복합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프라이드 먼스(Pride Month)를 기념해 모라 힐리(Maura Healey) 주지사는 LGBTQ 기업과의 계약 확대 목표를 새롭게 제시했다. 이는 매사추세츠 역사상 최초로 설정된 기준이었다. 당시 힐리 주지사는 “공정하고 포괄적인 경제 생태계 구축”을 선언하며 LGBTQ 기업에 대한 공공계약 참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주 공급업체 다양성 사무국(Supplier Diversity Office)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2023년 7월~2024년 6월) 동안 주정부 기관이 LGBTQ 소유 기업에 지출한 총액은 900만 달러에 그쳤다. 이는 당초 설정된 목표치인 전체 임의 지출의 0.3%, 즉 2,280만 달러 대비 약 40% 수준이다.
이전 연도와 비교하면 2023 회계연도의 560만 달러보다는 증가했지만, 2022 회계연도의 970만 달러보다도 낮은 실적이다. 특히 보건복지부(Health and Human Services)와 매사추세츠 교통부(MassDOT) 등 주정부 최대 계약 부서들이 LGBTQ 기업에 사용한 예산은 목표 대비 각각 19%와 4%에 불과했다.
모라 힐리(Maura Healey) 주지사가 2023년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주청사 앞에서 열린 프라이드 깃발 게양 행사 참석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매사추세츠 LGBTQ 상공회의소(Massachusetts LGBTQ Chamber of Commerce) 알렉스 에버하트(Alex Eberhardt) 회장은 WBUR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LGBTQ 기업의 산업적 구성이 공공 계약 시장과 잘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상공회의소 회원 기업 대부분은 창작, 소매, 환대산업, 여행업,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서비스 업종에 속해 있어, 대규모 공공 계약이 많은 건설, IT, 산업재 분야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에버하트 회장은 “계약에 필요한 공식 인증을 받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를 “여권(passport)과 비슷하다”며 “언제 필요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막상 기회가 오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 준비 기간이 꽤 걸린다”고 말했다. 현재 LGBTQ 기업들의 공공 계약 참여를 돕기 위한 인증 프로세스를 확대 중이며, 향후 공급업체 다양성 사무국과 협력해 교육 구조를 개발하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여성 또는 소수계 기업과 비교하면 LGBTQ 기업에 대한 지원 목표는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다. 에버하트 회장은 “공공 계약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자체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실질적인 계약 확대 효과를 보기까지는 몇 년의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보다 거시적인 경제 변화 속에서 이뤄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시기 이후 미국 전반에서 다양성 강조 흐름이 다소 약화되고 있으며, 많은 대기업들은 공급업체 다양성 부서를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추세다. 에버하트 회장은 “소규모 LGBTQ 기업들이 이러한 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매사추세츠주 #LGBTQ기업 #공공계약 #다양성정책 #프라이드먼스 #모라힐리 #공급업체다양성 #경제포용 #소수계기업 #트렌드변화